리팩토링은 어떨 때 필요한가
-
같은 작업의 삼진 아웃 때
어떤 작업을 처음 할 땐 그냥 하고, 비슷한 작업을 두 번째 해야 할 땐 중복 작업이라 좀 망설여져도 일단 그냥 하고, 세번째 하게 되면 그때 리팩토링을 실시하는 것이다.
-
기능을 추가 할 때
소프트웨어에 새 기능을 추가해야 할때 이 시점에 해야 하는 첫째 이유는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기 위해서다.
-
버그를 수정할 때
주로 코드를 이해하기 쉽게 만들려고 리팩토링한다. 코드의 기능을 파악하려다 이해하기 힘들면 이해하기 쉽게 만들
려고 리팩토링을 실시한다.
리팩토링을 하고나면 버그 찾기가 쉬워진다.
- 코드를 검수할 때
코드 검수를 통해 개발 팀원 모두가 코드를 파악하게 되며 선임, 개발자가 경험이 적은 개발자에게 지식을 전수하는 결과도 얻게 된다.
리팩토링을 하면 다른 사람이 개발한 코드를 검수하기도 쉬워진다.
'개발 > 기타개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도커 컨테이너 자원 할당 제한 (0) | 2020.02.01 |
---|---|
도커 컨테이너 로깅 (0) | 2020.02.01 |
RESTFul Api 3장 HTTP를 이용한 인터랙션 설계 (0) | 2019.03.05 |
RESTFul Api 2장 URI 식별자 설계 (0) | 2019.03.03 |
JPA java8 localDate 변환구현 ( 컨버터 ) (0) | 2019.02.28 |
댓글